키레네 (리비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키레네는 현재 리비아 북동부에 위치한 고대 도시로, 기원전 7세기 테라 섬의 그리스인들이 델포이 신탁에 따라 건설했다. 군주제 하에 리비아 지역의 중심 도시로 성장했으며, 헬레니즘 시대에는 "아프리카의 아테네"로 불리며 학문과 문화가 번성했다. 로마 시대에는 유대인 인구가 많았고, 초기 기독교의 중심지 중 하나였으며, 115년 디아스포라 반란으로 파괴되었다가 재건되었다. 3세기 중반부터 쇠퇴하여 365년 지진으로 큰 피해를 입었고, 643년 이슬람 세력에 의해 정복된 후 버려졌다. 현재는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된 고고학 유적지로, 아크로폴리스, 아고라, 제우스 신전, 데메테르 신전 등의 유적이 남아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리비아의 유적 - 사브라타
사브라타는 리비아에 위치한 고대 도시로, 페니키아인에 의해 설립되어 로마 시대에 번성했으나 지진과 반달족의 지배를 거쳐 쇠퇴했으며, 현재는 고고학 유적지로 3층 구조의 극장이 유명하고, 2016년에는 리비아 내전으로 인한 손상 우려로 유네스코 위기에 처한 세계유산 목록에 등재되었다. - 리비아의 지리 - 키레나이카
키레나이카는 리비아 동부에 위치하며 지중해 연안에서 사하라 사막까지 뻗어 있는 지역으로, 고대 그리스 식민지, 로마 제국 속주, 아랍 및 오스만 제국 지배, 이탈리아 식민지를 거쳐 현대 리비아에서 정치·경제적으로 중요한 위치를 가진다. - 리비아의 지리 - 리비아 대수로
리비아 대수로는 리비아 남부의 지하수를 활용하여 해안 지역의 도시와 농지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대규모 수로 건설 프로젝트로, 한국 기업이 공사에 참여했으나 지하수 고갈 우려와 정치적 불안정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 리비아의 세계유산 - 렙티스 마그나
렙티스 마그나는 기원전 7세기 후반 페니키아인이 건설한 고대 도시로, 카르타고 제국의 주요 도시였으며 로마의 지배를 거쳐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황제의 후원으로 번성했으나 3세기 위기 이후 쇠퇴하여 현재는 로마 유적지로 남아 리비아 내전으로 인해 위기에 처한 세계유산 목록에 등재되었다. - 리비아의 세계유산 - 사브라타
사브라타는 리비아에 위치한 고대 도시로, 페니키아인에 의해 설립되어 로마 시대에 번성했으나 지진과 반달족의 지배를 거쳐 쇠퇴했으며, 현재는 고고학 유적지로 3층 구조의 극장이 유명하고, 2016년에는 리비아 내전으로 인한 손상 우려로 유네스코 위기에 처한 세계유산 목록에 등재되었다.
키레네 (리비아) | |
---|---|
개요 | |
![]() | |
지리적 위치 | 샤하트, 자발 알아크다르, 키레나이카, 리비아 |
지역 | 제벨 아크다르 |
유형 | 정착지 |
건설 시작 | 기원전 631년 |
건설 주체 | 테라에서 온 식민자, 바투스 1세의 지휘 |
소멸 시기 | 서기 7세기 |
시대 | 고대 그리스 ~ 우마이야 칼리파조 |
역사 | |
건설 | 기원전 631년, 테라 (현재의 산토리니)에서 이주한 그리스인들이 건설 |
세계 유산 등재 | 1982년 (6차 회의) |
세계 유산 유형 | 문화유산 |
세계 유산 기준 | (ii), (iii), (vi) |
세계 유산 번호 | 190 |
지역 | 아랍 국가 |
추가 정보 | |
면적 | 약 |
지정 목록 | WHS |
공식 명칭 | 키레네의 고고 유적지 |
2. 역사
키레네는 기원전 630년경 산토리니 섬(티라섬)의 그리스인들이 지중해에 면한 북아프리카 항구 아폴로니아 항구에서 남쪽으로 약 16km 떨어진 곳에 건설한 고대 식민 도시였다. 곤경에 처한 티라섬 주민들은 델포이 신탁에 따라 이곳으로 이주하기로 결정했으며, 도시 건설 상황은 헤로도토스의 『역사』 제4권에 상세히 기술되어 있다.
키레네는 곧 이집트와 카르타고 사이에 위치한 리비아 지방의 중심 도시가 되어, 모든 그리스 도시와의 무역 관계를 유지하면서 기원전 5세기에 자체 왕정 아래 전성기를 맞았다. 기원전 515년, 아케메네스 제국의 속국이 되어 리비아 사트라피(속주)에 편입되었다. 기원전 460년에는 공화정으로 이행하였고, 알렉산드로스 3세(대왕) 사후(기원전 323년) 프톨레마이오스 왕조의 지배를 받으며 점차 쇠퇴하였다. 이후 로마 제국에 편입되었다.
헬레니즘 시대, 키레네는 지중해 세계의 학술 중심지 중 하나였으며, "아프리카의 아테네"라는 별명을 가질 정도였다. 에라토스테네스의 출생지였으며, 소크라테스의 제자 아리스티포스와 그의 딸 아레테 등 키레네 학파 철학자들과 칼리마코스, 카르네아데스, 프톨레마이스 등 여러 철학자들이 이곳에서 나왔다.
루키우스 코르넬리우스 술라 시대(기원전 85년경) 도시 주민은 시민, 농민, 외국인, 유대인의 네 계층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이 중 유대인은 불안정한 소수 민족을 형성하고 있었다. 키레네의 통치자 아피온은 도시를 로마에 넘겼지만, 자치는 유지되었다. 기원전 74년에는 로마의 속주가 설립되었다. 프톨레마이오스 왕조 시대에는 유대인 주민이 평등한 권리를 누렸지만, 그 이후로는 점차 자치를 행하고 있던 그리스계 주민 다수에게 억압받게 되었다. 양자의 긴장 관계는 베스파시아누스 황제 시대(서기 73년)와 트라야누스 황제 시대(117년)의 유대인 주민 봉기에 의해 분출되었다. 후자의 폭동은 마르키우스 투르보에 의해 진압되었고, 많은 유대인 주민이 살해되었다.[21] 에우세비우스에 따르면, 폭동 발생이 리비아 인구 감소로 이어져 새로운 식민 도시 건설로 연결되었다고 한다. 폭동으로 파괴된 도시는 하드리아누스 황제 시대에 로마 건축으로 대체되는 형태로 재건되었다.
3세기 중반부터 키레네의 경제는 쇠퇴하기 시작했다. 262년의 지진은 쇠퇴를 가속화시켰고,[21] 이후 도시는 리비아 유목민에게 약탈당했다. 클라우디우스 고티쿠스 황제가 키레네를 복구하고 ''클라우디오폴리스''로 개명했지만,[21] 재건은 서둘러 이루어졌다.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 시대에 키레네는 리비아 수페리오르 속주의 주도가 되었다.[21] 로마 순교록은 디오클레티아누스의 박해 시기 키레네의 테오도루스 주교가 겪은 고난을 언급한다.[22]
비잔티움 시대인 365년 지진 이후에도 키레네는 도시 기능을 일부 유지했으며, 시네시우스 주교의 편지에는 당시 키레네가 기독교 중심지로서의 역할을 계속하고 있었다는 기록이 남아있다.[22] 643년 아므르 이븐 알-아스가 이끄는 이슬람 군대에 의해 정복되면서 키레네의 고대 도시로서의 역사는 막을 내렸다.
2. 1. 건립과 초기 역사 (기원전 7세기 ~ 기원전 6세기)
그리스 신화에 따르면, 아폴론 신이 사냥꾼 키레네와 사랑에 빠져 그녀를 리비아로 데려왔고, 그녀는 아리스타이오스라는 아들을 낳았다.[4] 헤로도토스의 ''역사''와 키레네에서 발견된 기원전 4세기 비문에 기록된 그리스 역사 전승에 따르면, 스파르타에서 추방당해 산토리니 섬(테라)에 정착한 크레타 그리스인들이 델포이 신탁의 권유를 받아 바투스 1세의 지휘 아래 기원전 631년 키레네를 건설했다고 한다.[5] 일부 전승에서는 기근 때문에 정착민들이 테라를 떠났다고 하고, 다른 전승에서는 내전 때문이라고 한다. 대부분의 전승은 식민지 개척자들이 데르나 동쪽 아지리스의 섬에 먼저 정착한 후 키레네로 이주했다고 한다.키레네는 기원전 630년경, 산토리니섬(티라섬)의 그리스인들이 지중해에 면한 북아프리카 항구, 아폴로니아 항구에서 남쪽으로 약 16km 떨어진 곳에 건설된 고대 식민 도시였다. 곤경에 처한 티라섬 주민들은 델포이 신탁에 따라 이곳으로 이주하기로 결정했으며, 도시 건설 상황은 헤로도토스의 『역사』 제4권에 상세히 기술되어 있다.
유적지의 고고학적 증거는 기원전 7세기 중반에 그리스인들이 정착하기 시작했음을 확인해 준다. 이 초기 토기는 테라, 스파르타, 사모스뿐만 아니라 로도스에서도 유래한다. 초기 거주 지역은 아크로폴리스에서 아고라까지 동쪽으로 뻗어 있는 산등성이였지만, 도시는 빠르게 동쪽으로 확장되었다. 아크로폴리스 북쪽의 아폴론 신전, 남쪽의 데메테르 신전, 동쪽의 제우스 신전은 모두 기원전 7세기 또는 6세기로 거슬러 올라간다. 고고학적 증거는 아폴로니아, 에우에스페리데스, 타우케이라(현대 벵가지와 토크라)와 같은 키레나이카의 다른 여러 유적지가 키레네와 동시에 정착되었음을 보여준다.
키레네는 곧 이집트와 카르타고 사이에 위치한 리비아 지방의 중심 도시가 되어, 모든 그리스 도시와의 무역 관계를 유지하면서 기원전 5세기에 자체 왕정 아래 전성기를 맞았다.
2. 2. 고졸기와 고전기 (기원전 6세기 ~ 기원전 4세기)
바트투스 2세 통치 기간(기원전 6세기 전반기)에 펠로폰네소스와 크레타 출신의 그리스인들이 키레네에 정착하면서 토착 리비아인들과 갈등이 발생했다. 이집트의 파라오 아프리스가 키레네를 공격했으나, 이라사 전투에서 패배했다.[8]
"잔혹한" 아르케실라우스 2세(기원전 560-550년경) 통치 시기에는 내분이 발생하여 그의 형제들이 서쪽에 바르카를 건설했다. 아르케실라우스 2세는 류코 전투에서 바르카인들과 리비아인들에게 패배하고 살해당했다. 바트투스 3세(기원전 550-530년경) 시대에는 만티네이아의 데모낙스가 법률을 개혁하여 왕의 권한을 종교 문제로 제한하고, 정치적 권력을 키레네 사람들에게 부여했다.[8]
바트투스 3세의 아들 아르케실라우스 3세(기원전 530-515년경)는 데모낙스의 헌법을 폐지하려다 추방되었으나, 사모스에서 군대를 이끌고 돌아와 권력을 되찾았다. 그러나 다시 추방되어 바르카에서 암살당했다. 그의 어머니 페레티메는 이집트의 아케메네스 총독 아리안데스에게 도움을 요청했고, 아리안데스는 기원전 515년에 바르카를 점령했다. 키레네는 일시적으로 페르시아의 지배를 받았을 수 있으며, 이때 페르시아인들에 의해 파괴된 성벽 밖 사원의 유적이 발견되었다.[8]
기원전 5세기경 키레네는 실피움 재배, 말 사육, 환적 무역 등을 통해 경제적으로 번영했다. 이 시기에 아폴론 신전(기원전 7세기), 제우스 신전(기원전 6세기), 데메테르 신전(기원전 7세기) 등 주요 건축물들이 건설되었다.
아르케실라우스 4세가 피티아 경기 대회 전차 경주에서 우승한(기원전 462년) 직후 군주제가 폐지되고, 민주정이 수립되었다. 키레네는 펠로폰네소스 전쟁 기간 동안 스파르타에 식량과 물자를 지원하며 협력했다.
기원전 4세기 초, 키레네는 카르타고와 경쟁하며 세력을 확장했고, 델포이에 국고를 건설했다.
2. 3. 헬레니즘 시대 (기원전 4세기 ~ 기원전 1세기)
기원전 331년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이집트를 정복하고 서쪽으로 진군하여 시와의 신탁을 방문했을 때, 키레네인들은 우정을 선언하기 위해 사절을 보냈다.[11] 알렉산드로스 대왕 사후 키레네는 프톨레마이오스 왕조의 지배를 받으며 점차 쇠퇴하였다.헬레니즘 시대에 키레네는 '아프리카의 아테네'라는 별명을 가질 정도로 학문과 문화가 발전했다. 에라토스테네스를 비롯하여 소크라테스의 제자 아리스티포스와 그의 딸 아레테 등 키레네 학파 철학자들과 칼리마코스, 카르네아데스, 프톨레마이스 등 여러 철학자들이 이곳에서 나왔다.
2. 4. 로마 시대 (기원전 1세기 ~ 서기 4세기)
키레네는 기원전 96년 로마 공화정에 귀속되었다. 프톨레마이오스 아피온이 상속인 없이 사망하면서 그의 유언에 따라 로마에 영토가 넘어갔다.[17] 그러나 로마는 초기에는 이 영토를 무시했고, 키레네는 폭정으로 혼란을 겪었다.[18] 플루타르코스는 키레네의 폭군 니코크라테스와 그의 형제 레아르쿠스가 살해당하는 사건을 언급한다.[18]기원전 87년 루쿨루스가 도시를 방문하여 폭정을 진압하고 새로운 헌법을 부여했지만,[18] 로마가 총독을 파견한 것은 기원전 74년이었다.[19] 기원전 67년과 30년 사이, 키레나이카는 크레타와 키레나이카 로마 속주의 일부가 되었다. 속주 중심지는 크레타에 있었지만, 키레네는 키레나이카의 주요 도시로서 번영을 누렸고, 1세기경 많은 건설이 이루어졌다.[19]
키레네는 유대인 인구가 많아 초기 기독교의 중심지 중 하나였다.[19] 키레네의 시몬은 예수의 십자가를 지는 것을 도왔다고 전해진다.[19] 사도행전에는 키레네 출신 유대인들이 언급되며,[20] 콥트 정교회 전통에 따르면, 마가는 키레네 출신으로 키레네의 첫 번째 주교로 임명되었다.

115년, 디아스포라 반란으로 키레네는 크게 파괴되었다. 카이사레아의 유세비우스에 따르면, 유대인 반란으로 리비아 인구가 격감하여 하드리아누스 황제가 새로운 식민지를 건설해야 했다고 한다.[21] 코모두스 통치 시대까지 복구 작업이 완료되었고,[21] 키레네는 2세기 후반 다시 번영했다.
3세기 중반부터 키레네의 경제는 쇠퇴하기 시작했다. 262년의 지진은 쇠퇴를 가속화시켰고,[21] 이후 도시는 리비아 유목민에게 약탈당했다. 클라우디우스 고티쿠스 황제가 키레네를 복구하고 ''클라우디오폴리스''로 개명했지만,[21] 재건은 서둘러 이루어졌다.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 시대에 키레네는 리비아 수페리오르 속주의 주도가 되었다.[21] 로마 순교록은 디오클레티아누스의 박해 시기 키레네의 테오도루스 주교가 겪은 고난을 언급한다.[22]
2. 5. 비잔티움 시대와 이슬람 정복 (서기 4세기 ~ 7세기)
365년 지진 이후에도 키레네는 도시 기능을 일부 유지했으며, 시네시우스 주교의 편지에는 당시 키레네가 기독교 중심지로서의 역할을 계속하고 있었다는 기록이 남아있다.[22]643년 아므르 이븐 알-아스가 이끄는 이슬람 군대에 의해 정복되면서 키레네의 고대 도시로서의 역사는 막을 내렸다.
3. 고고학 유적
365년 지진으로 도시가 파괴되었고, 무너진 잔해 속에서 해골들이 발견되었다. 당시 역사가 암미아누스 마르켈리누스는 키레네를 "고대지만 버려진 도시"라고 묘사했지만, 피해가 과장되었을 가능성도 있다.[23] 고고학적 증거에 따르면 대부분의 건물이 피해를 입었지만 많은 건물이 재건되었고, 테오도시우스 칙령에 의해 폐쇄될 때까지 많은 사원들도 복구되었다.[23]
중앙 교회와 동쪽 교회는 5세기 또는 6세기에 건설되어 여러 차례 개축되었다.[23] 키레네 주교였던 루푸스는 449년 에페소스 강도 공의회에 참석했고, 총대주교 알렉산드리아의 에우로기우스 시대(580~607)에도 레온티우스라는 키레네 주교가 있었다.[23][24] 이 도시는 643년 아랍 정복으로 함락되었고, 이후 버려졌지만 19세기까지 "그레나"라는 이름으로 남아 있었다.[23]
키레네는 현재 샤하트 마을 북쪽, 바이다 동쪽, 자발 악다르 산등성이 약 600m 고지에 위치한 고고학 유적지이다. 산등성이 남쪽 끝과 도시는 와디 빌 가디르, 북쪽 끝은 와디 부 투르키야에 의해 형성된다. 그리스 극장, 아폴론 신전, 트라야누스 목욕탕이 있는 삼각형 고원에는 아폴론과 키라의 샘이 절벽에서 솟아난다. '계곡 거리'는 와디 부 투르키야를 따라 남동쪽으로 이어지며, 시장 극장과 여러 공공 건물, 궁전 저택이 있는 중심 지역으로 연결된다.
도시 성벽 남쪽 바깥에는 데메테르와 페르세포네 성역이 있다. 키레네 묘지는 도시 남쪽과 북쪽으로 약 20km2에 걸쳐 있다.[28]
유적지 동쪽 임시 박물관에는 고고학 발굴품이 보관 및 전시되어 있다. 2005년 우르비노 대학교 고고학자들은 키레네에서 2세기 로마 조각상 76점을 발견했다. 이 조각상들은 375년 지진 당시 사원 벽이 무너지면서 잔해에 묻혀 1,630년 동안 보존되었다.[32]
3. 1. 아크로폴리스
키레네의 아크로폴리스는 그리스인들이 처음 정착한 중심지였다. 아크로폴리스는 산등성이 서쪽 끝에 위치하며, 남쪽으로는 와디 빌 가디르, 북쪽으로는 와디 부 투르키야에 의해 경계가 형성된다. 이곳에서부터 '바투스 거리' 또는 '스키로타'라고 불리는 길이 산등성이를 따라 남동쪽으로 약 1km 뻗어 아고라, 야손 마그누스의 집, 여러 궁전 저택, 헤르메스와 헤라클레스의 스토아, 카이사레움, 두 개의 극장, 신성 지역, 카라반사라이를 지나 도시의 문에 이른다.[28]아크로폴리스 북쪽 아래에는 아폴론과 키라의 샘이 절벽에서 와디 부 투르키야 기슭의 삼각형 고원으로 솟아난다. 이 고원에는 그리스 극장, 아폴론 신전, 트라야누스 목욕탕이 있다.[28]
1913년 이탈리아 식민 정부는 아크로폴리스에 군사 기지를 설립했다. 기지 건설 과정에서 이탈리아 병사들은 그리스 원본을 로마 시대에 복제한 비너스 여신을 묘사한 머리가 없는 대리석 조각상인 "키레네의 비너스"를 발견했다. 이 조각상은 로마로 옮겨졌다가 2008년 리비아로 반환되었다.[28]
3. 2. 아고라
아고라는 시민들의 상업 및 사회 활동 중심지였다. 이곳에는 여러 공공 건물과 기념물들이 있었다. 아고라는 "바투스(Battus) 거리" 또는 "스키로타(Skyrotà)"라고 불리는 길을 통해 야손 마그누스의 집(House of Jason Magnus), 헤르메스와 헤라클레스의 스토아(Stoa of Hermes and Heracles), 카이사레움, 두 개의 극장, 신성 지역, 카라반사라이를 지나 도시의 문과 연결되었다.[23]3. 3. 야손 마그누스의 집
야손 마그누스의 집은 아고라 근처에 있는 로마 시대 귀족 저택 유적이다. 이 집에서는 로마 시대 귀족의 생활상을 엿볼 수 있는 유물들이 발견되었다.[32]3. 4. 아폴론 신전
아폴론 신전은 기원전 7세기에 건설된 것으로 추정되는 키레네의 주요 유적 중 하나이다.[30] 초기 건설 이후 여러 차례 재건 및 증축되었다.
3. 5. 제우스 신전
'''키레네의 제우스 신전'''은 키레네에서 가장 큰 고대 그리스 신전이었으며, 건설된 그리스 신전 중에서도 가장 큰 신전 중 하나였다. 원래의 도리스식 옥타스타일 페리프테로스 신전은 기원전 500-480년경에 건설되었다.[32] 동쪽을 향하고 있으며 3단의 크레피도마 위에 세워졌고, 길이 68.3미터, 너비 30.4미터였다. 이는 크기가 올림피아의 제우스 신전과 아테네의 파르테논 신전과 거의 같다.[32] 정면 현관(프로나오스)은 두 개의 기둥(인 안티스)에 의해 지지되었고, 후면 현관(오피스토도모스)은 세 개의 기둥(인 안티스)에 의해 지지되었다. 셀라는 2층 높이였고, 두 줄의 기둥이 세 개의 통로로 나뉘어져 있었다. 외부 주랑(페리프테로스)은 정면과 후면에 여덟 개의 기둥이 있고, 긴 측면에는 각각 열일곱 개의 기둥이 있었다.이 신전은 기원후 115년 유대인들의 도시 약탈 당시 파괴되었다. 기원후 172-175년경에는 비 페리프테로스 신전으로 부분적으로 재건되었다. 기원후 185년에서 192년 사이에는 올림피아의 제우스 상을 본뜬 거대한 종교 의식 조각상이 설치되었다.[32] 이 신전은 기원후 365년 지진으로 다시 파괴된 후 기독교인들에 의해 불에 탔다.[32]

3. 6. 데메테르와 페르세포네 신전
데메테르와 페르세포네 신전은 도시 성벽 밖에 있는 와디 빌 가디르 계곡 남쪽에 있다. 이 신전은 32km(20마일)에 걸쳐 펼쳐진 구조물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하층 신전, 중층 신전, 상층 신전의 세 개의 계단식 구조로 나뉜다.[33] 고고학적 유적은 기원전 7세기 후반부터 서기 3세기 중반까지의 시대를 나타낸다. 신전에서의 신성한 활동 기간 동안, 내부에는 토기, 등잔, 주화, 석조 조각, 보석, 비문, 유리, 그리고 청동과 테라코타(terracotta) 소조(figurine) 등 다량의 봉납품이 축적되었다. 신전에서 발굴된 토기는 신전의 건립과 종교 활동의 유형에 관한 유용한 증거를 제공한다.[34]
3. 7. 네크로폴리스

키레네 네크로폴리스는 도시의 남쪽과 북쪽에 걸쳐 약 20km2에 달하는 지역에 위치하며, 기원전 6세기부터 기원후 5세기까지의 무덤, 암석 굴착 무덤, 신전 무덤 및 석관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곳은 알려진 그리스 네크로폴리스 중 가장 큰 규모 중 하나이다.[35] 남쪽 지역은 샤하트 도시의 성장으로 인해 훼손되고 있으며, 특히 2013년 이후 많은 무덤이 불도저로 파괴되었다.[35] 반면 북쪽 지역은 비교적 보존 상태가 양호하다. 로마 시대의 여러 무덤에는 사망자의 초상 흉상을 위한 벽감이 있으며, "죽음의 여신"이라 불리는 조각상도 자주 발견되는데, 이는 종종 얼굴이 없는 여성 흉상이 스스로 베일을 벗는 모습으로 묘사되어 있다.[35]
4. 철학과 문화
키레네는 저명한 철학자들과 수학자들을 통해 그리스의 지적 삶에 기여했다. 키레네 학파(큐레네 학파)는 아리스티푸스(아리스토텔레스의 친구였을 가능성이 있으나, 일부 기록에 따르면 같은 이름을 가진 아리스티푸스의 손자라고도 함)가 설립한 소규모 소크라테스 학파이다. 프랑스의 신-에피쿠로스주의 철학자 미셸 옹프레는 쾌락 윤리의 탄생과 초기 발전에 있어 키레네의 중요성을 언급하며 키레네를 "철학적 아틀란티스"라고 불렀다.
5. 현대의 키레네
19세기 이후 키레네는 유럽 탐험가들에 의해 다시 발견되었다. 제우스 신전과 같은 주요 유적들이 재조명되었다.
1982년, 키레네는 그 역사적 중요성을 인정받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다. 이는 키레네 유적의 보존과 관리에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2005년, 이탈리아 우르비노 대학교 발굴팀은 키레네에서 2세기 로마 시대의 조각상 76점을 발견하는 쾌거를 이루었다. 이 발견은 키레네가 로마 제국 시기에도 중요한 도시였음을 보여주는 증거로 평가받는다.
그러나 2016년, 리비아 내전으로 인한 피해와 추가 피해 우려로 인해 키레네는 위험에 처한 세계유산 목록에 등재되는 안타까운 상황에 처했다.[47] 이는 키레네 유적의 보존에 대한 국제사회의 관심과 지원이 절실함을 보여준다.
참조
[1]
뉴스
21 World Heritage Sites you have probably never heard of
https://www.telegrap[...]
2018-04-04
[2]
서적
Homer, Hesiod, and the Hymns: Diachronic Development in Epic Dic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2
[3]
서적
Strong's Concordance
[4]
학술지
Bronze Age Greece and Libya
1968
[5]
서적
Greece in the making, 1200–469 B.C.
Routledge
[6]
웹사이트
Art and Craft in Archaic Sparta
https://www.metmuseu[...]
Metropolitan Museum of Art
2021-10-16
[7]
잡지
Archaic Cyrene and the Cult of Demeter and Persephone
https://www.penn.mus[...]
Penn Museum
2021-10-16
[8]
서적
The Cambridge Ancient History, vol. IV – Persia, Greece and the Western Mediterranean c. 525 to 479 B.C.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6
[9]
학술지
Pliny the Elder's Silphium: First Recorded Species Extinction
2003
[10]
서적
The Peloponnesian War
Touchstone
[11]
웹사이트
Account of Cyrene about grain supplies
https://igcyr.unibo.[...]
2023-09-17
[12]
웹사이트
Diagramma of Ptolemy I
https://igcyr.unibo.[...]
2023-09-13
[13]
서적
Griechische und lateinische Inschriften zum Ptolemäerreich und zur römischen Provinz Aegyptus
Lit
2015
[14]
서적
Agathokles of Syracuse: Sicilian Tyrant and Hellenistic King
Oxford University Press
2021
[15]
웹사이트
Magas king of Cyrene
https://www.instoneb[...]
2023-09-13
[16]
웹사이트
Berenice II
https://www.instoneb[...]
2023-09-13
[17]
웹사이트
Will of Ptolemy VIII Euergetes II
https://igcyr.unibo.[...]
2023-09-13
[18]
서적
De Mulierum Virtutibus
https://penelope.uch[...]
2008-02-14
[19]
성경
Mark 15:21 and parallels
[20]
성경
Acts 2.10, 11.20
[21]
서적
lxviii. 32
[22]
서적
Martyrologium Romanum
Typographia Vaticana
[23]
서적
Oriens christianus in quatuor Patriarchatus digestus
https://archive.org/[...]
Typographia Regia
[24]
서적
Cyrène
http://booksnow.scho[...]
[25]
웹사이트
Person/organisation: Sir Robert Murdoch Smith [Search for 'Robert Murdoch Smith']
https://www.britishm[...]
2023-09-14
[26]
웹사이트
Colossal marble statue of Apollo
https://www.britishm[...]
2016-07-22
[27]
웹사이트
Bronze portrait of a man
https://www.britishm[...]
2016-07-22
[28]
웹사이트
Case: Venus of Cyrene – Italy and Libya
https://plone.unige.[...]
Art-Law Centre, University of Geneva
2013-12-09
[29]
웹사이트
Archaeological Site of Cyrene
https://whc.unesco.o[...]
[30]
웹사이트
Cyrene, Libya
http://globalheritag[...]
Global Heritage Fund (GHF)
2009-04-27
[31]
웹사이트
Archaeological Site of Cyrene (Libya)
https://whc.unesco.o[...]
2017-10-21
[32]
웹사이트
Interview with archaeologist Mario Luni
http://www.theartnew[...]
2009-05-22
[33]
웹사이트
Cyrenaica Archaeological Project
http://www.cyrenaica[...]
Cyrenacica.org
[34]
웹사이트
Mediterranean and Near Eastern Fieldwork at Penn
http://www.sas.upenn[...]
Sas.upenn.edu
[35]
웹사이트
Ancient Libyan Necropolis Bulldozed
https://archaeologyn[...]
2023-09-23
[36]
뉴스
Libya flood disaster damaged ancient city but revealed new remains
https://www.reuters.[...]
2023-10-05
[37]
문서
Polyaenus, Strategems, 2.27.1
http://cts.perseids.[...]
[38]
문서
Pausanias, Description of Greece, Paus. 6.18.1
http://www.perseus.t[...]
[39]
문서
Perseus Encyclopedia, Idaeus
https://www.perseus.[...]
[40]
문서
Pausanias, Description of Greece, 6.12.2
https://www.perseus.[...]
[41]
서적
Series episcoporum Ecclesiae Catholicae
http://www.wbc.pozna[...]
Leipzig
1931
[42]
서적
Suffraganei Colonienses extraordinarii, sive de sacrae Coloniensis ecclesiae proepiscopis
https://books.google[...]
Magonza
1843
[43]
서적
Annuario Pontificio 2013
Libreria Editrice Vaticana
2013
[44]
웹사이트
Titular Episcopal See of Cyrene Libya
http://www.gcatholic[...]
2023-09-14
[45]
웹사이트
Cyrene (Titular See) Cyrenaea
http://www.catholic-[...]
2023-09-14
[46]
서적
The Afterlife of Greek and Roman Sculpture: Late Antique Responses and Practices
https://books.google[...]
[47]
웹사이트
Libya’s five World Heritage sites put on List of World Heritage in Danger
http://whc.unesco.or[...]
2016-07-15
[48]
웹사이트
Temehu (Cyrene)
http://www.temehu.co[...]
[49]
웹사이트
Shahhat or (Cyrene) City by NestBird.info
http://www.nestbird.[...]
[50]
웹사이트
http://cyreen630.mak[...]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